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가계대출 증가와 주택시장 반등

한국의 금융시장은 가계대출이 다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택시장에서의 매수 욕구가 부상하면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대출 증가 폭이 커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높은 금리 환경에서 가계대출의 증가가 연체율 상승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모든 금융권에서 취급한 가계대출은 한 달 전과 비교해 5조4000억원이 증가했습니다. 올해 들어 전월 대비 가계대출 증가 폭으로는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이전까지는 정부의 고금리 정책 영향으로 가계대출이 감소세를 이어갔으나, 지난 4월부터 증가로 전환되면서 4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대비 가계대출 증가 폭은 약 2조원에 가깝게 나타났습니다.

이 가계대출 증가를 주도한 것은 주택담보대출이었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은 올해 들어 지난 3월부터 전월 대비 증가세를 보이며 5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전월 대비 증가 폭은 5조6000억원으로 조금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주택담보대출의 증가는 주택시장의 반등과 관련이 깊습니다. 고금리 정책에 따른 신규 아파트 매매수요의 감소세가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및 정책모기지의 금융 지원으로 인해 다시 상승하는 분위기입니다. 더불어 최근 금리가 약간 완화되면서 주택담보대출 증가가 더욱 촉진되었습니다. 다만,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신용대출 등의 기타대출은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가계대출의 재증가에 대한 우려

하지만 통화 긴축 사이클이 아직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이러한 가계대출의 재증가에 대한 우려도 존재합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까지는 여전히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시장금리 상승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없이도 대출금리 상승을 가져오기 때문입니다.

 

현재와 미래의 물가와 부실 부담

최근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세는 금리 상황에 크게 민감하지 않은 모습을 보입니다. 실제로는 올해 초까지는 정책모기지의 증가가 주택담보대출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러나 6월부터는 정책모기지의 증가액이 일반개별주택담보대출의 증가액을 앞지르게 되었습니다.

현재의 금리 환경에서도 주택시장의 반등은 주택담보대출 증가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가계대출 증가로 인한 부실 부담은 항상 주의해야 할 문제입니다. 이에 대한 적절한 금융감독과 정부의 대책이 필요하며, 통화 정책의 변화에 따른 대출 환경 변화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